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부담해야 하는 세금 중 하나가 자동차세입니다. 이 자동차세를 연납(일괄 납부)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자동차세 연납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 방법과 혜택, 납부 기한 및 유의사항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자동차세란?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이라면 반드시 내야 하는 지방세입니다.
이는 자동차의 배기량(승용차 기준) 또는 차량의 종류(영업용·비영업용)에 따라 과세되며, 지방자치단체(구청, 시청)에서 부과합니다.
납부 대상
•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차 등 자동차를 소유한 개인 및 법인 차량
납부 시기
• 자동차세는 기본적으로 1년에 2번 부과됩니다.
• 1기분: 6월 16일 ~ 6월 30일 (1월 6월분)
• 2기분: 12월 16일 ~ 12월 31일 (7월 12월분)
하지만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자동차세를 미리 한 번에 납부하고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자동차세 연납 제도란?
자동차세 연납 제도란, 자동차세를 미리 납부하면 일정 비율을 할인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자동차 소유자들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자동차세 연납 할인율
2025년에는 기존과 동일한 할인율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아래와 같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자동차세 연납 할인율 | ||
연납 시기 | 할인율 (약) | 납부 대상 |
1월 연납 | 5% | 2025년 1년치 자동차세 |
3월 연납 | 4% | 2025년 3월~12월 자동차세 |
6월 연납 | 3% | 2025년 6월~ 12월 자동차세 |
9월 연납 | 2% | 2025년 9월~12월 자동차세 |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1월에 연납할수록 할인율이 가장 크기 때문에 자동차세를 미리 낼 계획이라면 1월 연납 신청을 추천하지만, 이미 신청기간이 지난경우 3월 연납을 추천드립니다.

내가 얼마의 세금을 내야하는지 궁금하시다면, 자동차세 연납 계산기를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링크 걸어두었으니 바로 확인해보세요!

자동차세 연납 신청 3월은 1월 연납을 놓친 사람들에게 두 번째 기회가 될 수 있는데요.
할인율이 5%로 줄어들지만, 3월 이후에는 3% 또는 1%만 할인받을 수 있기 때문에 3월 안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온라인, 각 지방자치단체(오프라인) 를 통해 가능합니다.
① 온라인 신청
가장 편리한 방법은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입니다.

• 위택스홈페이지 접속→ 로그인 → 자동차세 연납 신청
• 신청 기간 내에 접속 후 신청 가능
• 납부는 신용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로 가능합니다.
서울시민이시라면 이지택 홈페이지도 활용해 보세요!
② 전화 신청
• 거주지 관할 시청 또는 구청 세무과에 전화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 차량 번호 및 소유자 정보 확인 후 신청이 완료됩니다.
③ 방문 신청
• 직접 시청, 구청, 주민센터 등 지방세 담당 부서를 방문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아쉽게도 이번 2025년을 끝으로 자동차세 연납 할인은 종료된다고 합니다.
4.자동차세 연납 혜택
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세금 절감
1월에 연납하면 5%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3월 연납 시에도 4%의 할인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간 자동차세가 50만 원이라면
• 1월 연납 시 46만 5천 원
• 3월 연납 시 47만 5천 원만 납부하면 됩니다.
간편한 세금 관리
• 1년치 세금을 한 번에 납부하면 6월과 12월에 세금을 따로 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집니다.
• 납부 기한을 놓쳐서 가산세(연체료)가 부과되는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중고차 판매 시 환급 가능
• 연납 후 자동차를 중고로 판매하거나 폐차할 경우, 남은 기간의 자동차세는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단, 새 차주가 연납을 신청할 경우 환급이 어려울 수 있으니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5. 자동차세 연납 시 유의할 점
연납 후 차량을 팔거나 폐차하면?
• 자동차세를 연납했더라도 자동차를 판매(소유권 이전)하거나 폐차하면 남은 기간에 대한 세금이 환급됩니다.
• 환급 신청은 해당 지자체 세무과를 통해 가능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자동 환급됩니다.
이사 후 자동차세 납부?
• 자동차세는 거주지(등록된 주소지) 기준으로 납부됩니다.
• 만약 연납 신청 후 타 지역으로 이사하더라도, 기존 지자체에서 납부한 내역이 유지됩니다.
연납 신청을 놓쳤다면?
• 연납 신청은 1월, 3얼뿐만 아니라 6월, 9월에도 가능합니다.
• 다만, 할인율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가급적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6.2025년 자동차세 연납, 꼭 해야 할까?
자동차세 연납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매우 유리한 제도입니다.
특히 1월 연납 시 7% 할인, 3월 연납 시 5% 할인이 적용되므로 세금 부담을 줄이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됩니다.
1월 신청을 놓쳤다면 3월 연납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할인이라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6월(3%)이나 9월(1%)보다는 훨씬 유리합니다.

✔ 1월에 신청하면 5% 할인 가능
✔ 3월에도 신청할 수 있으며 4% 할인 적용
✔ 자동차세 관리가 간편해짐
✔ 자동차를 팔거나 폐차하면 남은 세금 환급 가능
연납 신청 방법도 온라인(위택스), 전화, 방문 신청 등 다양하니,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신청해보세요.
자동차세 부담을 줄이고 싶은 사람들은 2025년 1월 또는 3월 연납 신청을 기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제도는 세금 절감과 관리 편의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2025년에도 1월 7% 할인, 3월 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고, 미리 신청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신청 방법: 위택스, 전화, 방문 신청
✔ 신청 기간: 1월(7% 할인), 3월(5% 할인), 6월(3% 할인), 9월(1% 할인)
✔ 혜택: 세금 절약, 관리 편리, 중고차 판매 시 환급 가능
자동차세 연납으로 스마트한 세금 관리 계획을 세워보세요.



